건축시공기술사/기술지침

[기술사-기술지침] Sealing 방수재 총 정리

탈건러 2023. 10. 30. 14:07
728x90

 


도막방수나 시트방수 등 주요 방수공법 외에 현장에서 매일 같이 마주하는 Sealing 방수재 관련하여 기술지침에 있는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C/W, 유리공사 및 마감공사 등에 공통 Item으로 활용할 가치가 높은 Item이니 잘 정리해 놓으시길 바랍니다.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본 글에 캡처된 수기✍️ 서브노트는
제가 실제로 작성한 서브노트📚입니다.
서브노트 PDF💻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1. Sealing 요구 조건

- 수밀성
- 기밀성
- Joint 거동에 신축 대응
- 내구성


2. Sealing 파괴 종류

  - 응집 파괴
  - 박층 응집 파괴
  - 접착 파괴

기술지침



3. Sealing 줄눈 크기

  1) 기본원칙
    - 줄눈 폭과 깊이가 균형을 잃으면 탈락, 파괴 하자 발생

2) 줄눈 폭 (W) 산정식
    [  W = E / M x 100 + T ]
      - E: 자재의 열 수축팽창 길이 (mm)
      - M: Sealing재의 거동 허용률 (%)
      - T: Joint 오차 (콘크리트 4mm, 금속 3mm)

기술지침


  3) 줄눈 깊이 (D)
    [ 1/2 ≤ D / W ≤ 1 ]
      - D: 줄눈 깊이
      - W: 줄눈 폭

기술지침

      - 줄눈 깊이가 폭보다 클 경우 실링재 표면에 큰 힘이 가해져 찢어질 우려가 있음 (윗 그림 참조)


4. Sealing 작업 전 준비사항

  1) 접착력 확보
    - 바탕면 접착 저해요소 제거 필수

  2) 환경조건 (아래 조건시 작업 지양)
    (1) 기상: 강우, 강설 시 또는 예상될 경우
    (2) 온도: 50℃ 이상, 5℃ 이하
    (3) 습도: 85% 이상
    (4) 풍속: 10m/s 이상

  3) 피착면 청소
    - 수분, 먼지, 유분, Cement 풀, Laitance 등 Sealing재 접착 저해 요소 Sanding 청소 후 Sealing재 충전

기술지침


  4) 적절한 Back Up재 준비
    - Joint폭 보다 3~4mm 큰 것으로 설치
    - Sealing재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한 깊이에 설치
    - 당일 Sealing재 충전 부위에만 Back Up재 설치
  
  5) 마스킹 테이프
    (1) 목적: Sealing재의 충전부위 외 오염 방지
    (2) 시공
      - 프라이머 도포 전, 곧게 설치
      - 제거 시 점착액이 남지 않는 제품 사용
    (3) 제거
      - Sealing재 가용시간 내, 주걱 마무리 직후
      - 40~60° 각도로 제거


5. Sealing재의 충전

  1) 원칙
    - Joint 신축에 대응하기 위해 Back Up재, Bond Breaker 이용 2면 접착이 되도록 해야 함


  2) 프라이머 도포
    (1) 바탕면: 이물질 제거, 함수율 7% 이하
    (2) 사용시간: 프라이머 도포 후 5~20℃ 조건에서 30분 내 작업 완료 권장

  3) Sealing재의 접착
    (1) Bond Breaker 사용
      - 2면 접착: 하부 Bond Breaker사용,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처리
      - 3면 접착: 내부 응력의 불균형으로 파괴 우려

기술 지침



    (2) Back Up재 설치
    (3) 시공 순서
      - 세로 → 가로 순서로 시공
    (4) 경화 후 이음 처리
      - 줄눈 교차부, 코너에서 이음 금지
      - 이음면은 경사지게, 청소 후 Sealing 실시    

기술 지침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본 글에 캡처된 수기✍️ 서브노트는
제가 실제로 작성한 서브노트📚입니다.
서브노트 PDF💻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