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예상문제

[기술사-예상문제] 방화구획 화재 확산 방지 성능 강화

탈건러 2023. 9. 25. 00:08
728x90

건축물 방화구획 화재 확산 방지 성능 강화
(2024년 출제 예상)

 

국토부에서 8월 21일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건축물의 화재안전을 강화하기 위해「건축법 시행령」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참고: 국토부 보도자료 원문

 

8월 22일부터 「건축법 시행령」 및 「건축물방화구조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www.molit.go.kr

 

건축물의 방화구획 관련 문제는 항상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건축자재 품질인정제도"도 개정 이후 출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금번 "화재 확산 방지 성능 강화"로 추가 개정된 상황이므로 2024년 반드시 출제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방화문 관련 규정도 개정된 상황므로 화재 확산 방지 관련한 모든 주제는 종합적으로 정리, 숙지해야겠습니다.

건축물 방화구획의 화재 확산 방지 성능 강화 관련 개정안은 40일간(8.22.~10.01) 입법 예고 진행 됩니다.

[Key Point]

□ 성능 강화 목적

  - 건축물의 화재 안전을 강화
  - 방화구획은 화재발생 시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늦추고 이용자의 대피시간을 확보하는 안전의 필수요소

□ 주요 내용

1. 방화구획 시공현황 사진·동영상으로 기록
2. 방화구획의 화재 확산 방지 성능 강화
  - 방화구획의 모든 틈새를 내화채움구조로 메우고
  - 제연·배연 풍도에도 방화댐퍼 설치
3. 자동방화셔터 설치시 열감지기 대신 특수 감지기 설치
  - 열감지기의 화재감지 지연 문제 해소
4. 피난약자 시설 내부마감재료 난연 이상 자재 사용
5. 소방관 진입창 삼중유리 사용 가능

□ 방화구획 관련 상세 내용 (개정 내용 포함)

1. 방화구획 (건축법 시행령 제46조)
  - 내화구조로 된 벽·바닥과 방화문, 자동방화셔터 등으로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구조
  -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연면적이 1,000㎡를 넘는 건축물은 1,000㎡ 이내마다 방화구획 하여야 함
2. 방화구획 구성 자재 (⚠️⚠️ 문제 출제 예상 ⚠️⚠️)
  1) 내화구조
    -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2) 방화문
    - 화재의 확대,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구획의 개구부에 설치하는 문
    - 연기·불꽃·열 차단 능력을 인정 받은 자재
  3) 내화채움구조
    - 방화구획의 설비 관통부 등 틈새를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
  4) 방화댐퍼
    - 관통 부분*에 설치되어 화재 시 자동으로 폐쇄되는 댐퍼
      * 환기, 난방시설 등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 등
  5) 자동방화셔터
    - 내화구조로 된 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 설치하는 셔터
    - 화재 시 감지기가 열 등을 감지하여 자동 폐쇄


3. 소방관 진입창 (⚠️⚠️ 문제 출제 예상 ⚠️⚠️)
  1) 정의
    - 화재 시 소방관의 신속한 진입 및 재실자 구조를 위해 설치하는 비상용 출입창
    - 비상 시 쉽게 파손·진입할 수 있도록 두께 기준 및 설치 위치 등을 규정하고 있음
  2) 개정 내용 비교 (아래 표 참고)

구분 현재 개정안
유리 두께 기준 관련 - 유리두께 기준이 가스층 두께를 포함
- 이중 유리(유리+공기층+유리) 두께 24mm 이내
- 삼중유리 사용 불가
→ 단열성능이 부족, 결로 등 발생 우려
 - 가스층 두께는 임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허용
 - 이중 유리의 경우 가스층을 제외한 유리 두께를 기준으로 제한
 - 일부 삼중유리(5mm 이하인 강화유리) 사용할 수 있도록 기준 합리화
설치 위치 관련 - 소방관 진입창 위치 규정(바닥에서 80cm 이내 설치)과 난간 최소 높이(120cm 이상의 난간 설치) 상충
→ 노대* 등의 창호에는 소방관 진입창 설치 불가
* 건축물 외부로 돌출된 것 또는 건축물의 일부로 개방형 구조로 된 바닥 구조물
 - 노대 등에 소방관 진입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방관 진입창 설치 위치를 바닥에서 80cm → 120cm에 가능하도록 단서 규정 신설

 

실제 답안지에
수기로 정리된 서브노트가 필요하신 분은
아래 링크 참고 부탁 드립니다.

(준비 중)

728x90